📋 목차
병원에서 MRI나 MRA 검사를 받으라고 하면 “둘이 뭐가 다른 거지?”라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같은 기계를 쓰는데 왜 이름이 다른지,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헷갈리시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오늘은 이 두 검사의 차이점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MRI와 MRA 검사의 기본 개념부터 검사 과정, 비용까지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드릴게요. 특히 최신 3테슬라 장비 정보와 2024년 건강보험 급여 확대 내용도 함께 다뤄보겠습니다.
1. MRI와 MRA 기본 개념
MRI(자기공명영상)란?
MRI는 ‘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줄임말로, 우리말로는 자기공명영상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거대한 자석 통 안에 들어가서 강한 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용해 우리 몸속 구조를 사진처럼 찍는 검사예요.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란?
MRA는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의 줄임말입니다. 쉽게 말하면 MRI 기술을 이용해서 혈관만 콕 집어서 보는 검사예요.
2. 검사 원리와 기술적 차이점
같은 장비, 다른 촬영 방식
• 인체 내 수소원자핵의 반응 신호를 종합적으로 수집
• 뇌, 근육, 인대, 장기 등 모든 조직을 함께 영상화
• 다양한 방향(가로, 세로, 사선)으로 촬영 가능
• 움직이는 혈액에 특별한 기법을 적용
• 혈관 내 혈류만 선별적으로 강조해서 영상화
• 혈관의 3차원 구조와 혈류 패턴을 정밀하게 분석
해상도와 영상 품질
최신 3테슬라(3T) MRI 장비를 사용하면 훨씬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요. 테슬라 수치가 높을수록 자기장이 강해서 더 정밀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3. 검사 목적과 진단 질환
MRI로 진단할 수 있는 질환
MRI는 정말 다양한 질환을 진단할 수 있어요:
• 뇌종양, 뇌출혈, 뇌경색
•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
• 뇌염, 뇌수막염 등 염증성 질환
• 선천성 뇌기형
• 척추 질환(디스크, 척추관협착증)
• 관절 질환(무릎, 어깨, 손목 등)
• 근육, 인대, 연골 손상
• 골종양
• 복부 장기 질환(간, 췌장, 신장)
• 골반 질환(자궁, 난소, 전립선)
MRA로 진단할 수 있는 질환
MRA는 혈관 질환 전문 검사예요:
• 뇌동맥류(뇌혈관이 풍선처럼 부푼 상태)
• 뇌혈관 기형(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
• 뇌혈관 협착(혈관이 좁아진 상태)
• 뇌혈관 폐쇄(혈관이 막힌 상태)
• 경동맥 협착증
• 목 혈관 기형
• 혈관염
4. 검사 과정과 소요 시간
검사 전 준비사항
검사받기 전에 이것들을 반드시 제거해야 해요:
• 악세사리: 목걸이, 귀걸이, 반지, 시계
• 일상용품: 틀니, 보청기, 안경, 머리핀
• 전자제품: 휴대폰, 카드, 열쇠, 지갑
• 의복: 금속 단추, 벨트, 브래지어
검사 과정
• 검사복으로 갈아입기
• 금속 물질 완전 제거 확인
• 검사대에 누워서 MRI 장비 안으로 이동
• 귀마개나 헤드폰 착용 (소음 차단용)
• 검사 중 절대 움직이면 안 됨
• MRI: 20~60분 (부위에 따라 차이)
• MRA: 15~30분 (상대적으로 짧음)
검사 중 주의사항
•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영상이 흔들려서 다시 찍어야 해요
• 답답하거나 힘들면 비상벨을 누르세요
• 호흡 조절이 필요한 경우 안내 방송을 잘 들어주세요
5. 비용과 건강보험 적용
2024년 건강보험 급여 확대
2017년 문재인케어 이후 MRI/MRA 건강보험 적용 범위가 크게 확대됐어요:
• 뇌 MRI: 치매, 뇌종양, 뇌경색 등
• 뇌혈관/경부혈관 MRA: 뇌동맥류, 혈관기형 등
• 두경부, 복부, 흉부 MRI
• 중증질환자: 5%만 부담
• 희귀질환자: 10%만 부담
비급여 검사 비용
건강검진이나 급여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6. 주의사항과 금기사항
검사받기 어려운 경우
이런 분들은 검사를 받기 어려워요:
• 심장박동기 시술자
• 달팽이관 이식 환자
• 신경자극기 시술자
• MRI 비호환 뇌동맥클립 삽입자
• 인공관절, 임플란트 시술자
• 치아교정기 착용자 (MRI 가능, MRA 불가)
• 문신이 있는 경우 (금속 성분 포함 시)
• 임신 초기 (안전성 미확인)
특별한 경우 대처법
• 진정제 투여 후 검사 가능
• 개방형 MRI 이용
• 가족 동반 검사 (일부 병원)
• 체중 제한 확인 필요 (보통 150kg 이하)
• 개방형 MRI 고려
• 수면 마취 하에 검사
• 부모 동반 가능한 경우 있음
7. 최신 장비와 기술 동향
3테슬라 MRI의 혁신
최근 주요 대학병원들이 앞다퉈 3테슬라 MRI로 교체하고 있어요:
• 기존 1.5T 대비 2배 높은 해상도
• 검사 시간 단축 가능
• 더욱 정밀한 혈관 영상
• 기능성 뇌영상(f-MRI) 검사 가능
• 삼성서울병원: 지멘스 Skyra 3T
• 서울아산병원: 최신 3T 장비 도입
• 서울대병원: 3T MRI 운영 중
차세대 MRI 기술
•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 진단 보조
• 검사 시간 단축 및 정확도 향상
• 폐소공포증 환자용 특수 설계
• 외부 창문으로 개방감 제공
• 심장 박동에 맞춘 실시간 촬영
• 움직임 보정 기술 적용
🤔 Q&A
🏷️ 주요 키워드 9개
📚 자료 출처
본 글은 다음과 같은 권위 있는 의료기관과 정부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