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이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 한국 기업의 참여 현황과 2025년 최신 기술 기준, 참여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로 정리했습니다.
📋 목차
1️⃣ RE100의 정의와 기본 개념
2️⃣ RE100의 역사와 배경
3️⃣ RE100 참여 조건과 요구사항
4️⃣ 2024-2025 RE100 기술 기준 업데이트
5️⃣ 한국 기업의 RE100 참여 현황
6️⃣ RE100 참여의 장점과 도전과제
7️⃣ RE100 달성을 위한 실행 방법
8️⃣ 향후 전망과 시사점
1. RE100의 정의와 기본 개념
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줄임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
쉽게 말해서, 회사에서 쓰는 모든 전기를 태양광, 풍력, 수력 같은 친환경 에너지로만 사용하겠다고 약속하는 거예요. 마치 우리가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쓰겠다고 다짐하는 것처럼, 기업들이 화석연료 전기 대신 깨끗한 재생에너지만 쓰겠다고 선언하는 셈이죠.
RE100의 핵심 원칙:
- 자발적 참여: 법적 의무가 아닌 기업의 자발적 선택
- 100% 목표: 일부가 아닌 전체 전력의 재생에너지 전환
- 투명한 공개: 매년 진행 상황을 공개적으로 보고
- 글로벌 영향: 전 세계 전력망의 탄소중립 가속화
2. RE100의 역사와 배경
RE100은 2014년 기후변화 대응 비영리단체인 클라이밋 그룹(Climate Group)과 CDP(Carbon Disclosure Project)가 공동으로 시작했습니다.
당시는 파리기후협정(2015년) 체결 직전으로, 전 세계가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시기였어요. 하지만 정부 차원의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민간 기업들이 앞장서서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참여 기업들은 IKEA, 스위스 리(Swiss Re), 마스(Mars)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우리가 먼저 시작하면 다른 기업들도 따라올 것”이라는 믿음으로 RE100에 동참했죠.
RE100의 성장 과정:
2014년
프로그램 시작 (13개 기업 참여)
현재 RE100 회원사들의 전력 소비량을 모두 합치면 프랑스 한 나라의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 규모입니다. 만약 RE100이 하나의 국가라면 세계에서 10번째로 전력을 많이 쓰는 나라가 될 정도예요!
3. RE100 참여 조건과 요구사항
RE100에 참여하려면 몇 가지 까다로운 조건들을 만족해야 합니다. 아무 기업이나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참여 자격 조건
⚠️
기본 조건:
- 연간 전력 소비량 100GWh 이상 (약 8만 4천 가구가 1년간 사용하는 전력량)
- 포춘 1000대 기업이거나 해당 산업 분야의 주요 기업
- 글로벌 사업 운영 (여러 국가에서 사업 활동)
예외 조건:
작은 회사라도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면 참여 가능합니다:
- 해당 산업에서 시장 선도적 지위
- RE100 우선 지역(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중요한 역할
- 혁신적인 재생에너지 기술 보유
핵심 요구사항
공개 선언
205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 공약
중간 목표
2030년까지 60%, 2040년까지 90% 달성 권장
연간 보고
RE100 양식 또는 CDP를 통한 진행 상황 공개
검증 가능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명확한 증빙 제시
인정되는 재생에너지원
태양광/태양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재생에너지
풍력: 육상 및 해상 풍력 발전
수력: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수력 발전
지열: 지구 내부 열을 이용한 발전
바이오매스: 지속가능하게 생산된 생물학적 연료
4. 2024-2025 RE100 기술 기준 업데이트
RE100은 2년마다 기술 기준을 업데이트하는데, 2024년 1월부터 적용된 새로운 기준은 이전보다 훨씬 까다로워졌습니다.
주요 변화 1: 15년 발전소 규칙
🏭
가장 큰 변화는 “15년 규칙”의 도입입니다. 이제 RE100 인정을 받으려면 건설된 지 15년 이내의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만 사용할 수 있어요.
왜 이런 규칙을 만들었을까요?
- 새로운 재생에너지 투자 촉진
- 오래된 발전소에만 의존하는 것 방지
- 진정한 ‘추가성(Additionality)’ 확보
15% 면제
전체 전력 사용량의 15%까지는 15년 규칙 면제
기존 계약
2024년 1월 이전 계약은 만료까지 인정
주요 변화 2: 유럽 시장 경계 재정의
유럽에서는 이제 다음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국가에서만 재생에너지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1. AIB(Association of Issuing Bodies) 회원국
2. EECS(European Energy Certificate System) 보증서 발급
3. 다른 적격 국가와 전력망 연결
🇬🇧
이 변화로 인해 영국, 폴란드 등이 단일 시장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주요 변화 3: 지속가능성 강화
수력 및 바이오매스의 경우 이제 ‘지속가능성’을 반드시 증명해야 합니다:
- 제3자 인증 필수: Green-e®, 수력발전 지속가능성 표준 등
- 환경 영향 최소화: 생태계 파괴 없는 발전 방식
- 사회적 책임: 지역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고려
5. 한국 기업의 RE100 참여 현황
한국은 글로벌 RE100 참여 기업 수에서 7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참여 기업 수에 비해 실제 이행률은 아직 갈 길이 멀어요.
주요 참여 기업 현황
🏢 선도 기업들:
1. SK그룹 (2020년 최초 가입)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8개 계열사 참여
한국 기업 중 최초로 RE100 가입의 의미
2. 삼성전자 (2022년 가입)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제조기업 (연간 25.8TWh)
2030년까지 RE100 달성 시 15조원 비용 절감 전망
반도체 업계의 게임 체인저 역할 기대
3. LG에너지솔루션 (2021년 가입)
2020년 기준 재생에너지 전환율 33%로 한국 기업 1위
2025년까지 전 세계 생산시설 RE100 완료 목표
2030년까지 비생산시설도 100% 전환 계획
미래에셋증권
2025년 목표 (가장 빠른 달성 목표)
한국 기업들의 도전과제
💰
1. 높은 비용 부담
현재 한국에서 RE100을 이행하려면 kWh당 약 30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한국 제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4%인 상황에서 결코 작은 부담이 아니에요.
🏗️
2. 인프라 부족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아직 낮은 편입니다.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재생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죠.
📋
3. 정책적 제약
PPA(전력구매계약) 체결 절차가 복잡하고, 관련 규제가 많아 기업들이 쉽게 참여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6. RE100 참여의 장점과 도전과제
기업이 얻는 장점들
💰 1. 경제적 이익
• 에너지 비용 안정화: 화석연료 가격 변동 위험 감소
• 탄소세 부담 완화: 미래 탄소 관련 세금 부담 줄임
• 투자 매력 증대: ESG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
🌟 2. 브랜드 가치 향상
• 친환경 이미지: 소비자들의 긍정적 인식
• 글로벌 경쟁력: 해외 바이어들의 요구 충족
• 직원 자부심: 회사에 대한 직원들의 만족도 증가
🚀 3. 비즈니스 기회 확대
• 공급망 요구: 글로벌 기업들의 협력업체 선정 기준
• 신규 시장 진입: 환경 규제가 강한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
• 혁신 촉진: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
현실적 도전과제
💸
1. 초기 투자 부담
재생에너지 설비 구축이나 장기 계약 체결에 큰 자금이 필요합니다.
⚙️
2. 기술적 복잡성
에너지 믹스 관리, 인증서 추적 등 전문 지식이 필요해요.
🌍
3. 지역별 격차
국가와 지역에 따라 재생에너지 인프라와 정책 지원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7. RE100 달성을 위한 실행 방법
RE100을 달성하는 방법은 크게 5가지가 있습니다. 기업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1. 자체 발전 (Self Generation)
장점
완전한 통제 가능, 장기적 비용 절감, 브랜드 이미지 극대화
단점
높은 초기 투자, 부지 확보의 어려움, 기술 관리 부담
적합한 기업
대규모 부지를 보유한 제조업체, 물류센터 운영 기업
2. 직접 전력구매계약 (Corporate PPA)
기업이 재생에너지 발전사와 직접 장기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Physical PPA: 실제 전력을 직접 공급받음
Virtual PPA: 금융 계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크레딧 확보
장점
전력 가격 안정성, 새로운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지원, 높은 신뢰성
단점
복잡한 계약 구조, 신용도 요구사항, 장기 리스크
3. 공급업체 계약 (Contracts with Suppliers)
전력 소매업체를 통해 재생에너지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녹색요금제: 기존 요금에 프리미엄을 추가로 지불
재생에너지 전용 상품: 100% 재생에너지로만 구성된 전력상품
4. 에너지 속성 인증서 (Energy Attribute Certificates, EACs)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의 환경적 속성만을 별도로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즉시 구매 가능,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 글로벌 프로젝트 지원
한계: 실제 전력 공급과 분리, 추가성 논란
5. 기본 공급 (Default Delivered)
일부 지역에서는 전력망 자체가 이미 재생에너지 중심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지역에서는 별도 조치 없이도 RE100 요건을 충족할 수 있어요.
8. 향후 전망과 시사점
글로벌 동향
📈 1. 가속화되는 참여
• 매년 50개 이상의 새로운 기업이 RE100에 참여
• 아시아 기업들의 참여가 특히 빠르게 증가
• 중소기업을 위한 프로그램도 확대 예정
⚖️ 2. 기준 강화
• 2026년부터 더욱 엄격한 기준 적용 예정
• 추가성(Additionality) 요구사항 강화
• 스코프 3 배출량까지 포함하는 방안 검토
🏛️ 3. 정책 지원 확대
• 각국 정부의 RE100 지원 정책 확산
•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 등과 연계
• 공공조달에서 RE100 기업 우대
한국의 과제와 기회
🔧
해결해야 할 과제들:
1. 제도적 개선
• PPA 계약 절차 간소화
• 재생에너지 인증제도 정비
• 녹색요금제 확대 및 개선
2. 인프라 확충
•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확대
• 전력망 안정성 강화
•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
3. 비용 경쟁력
•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 하락
• 규모의 경제 실현
• 기술 혁신을 통한 효율성 증대
새로운 기회들:
🌱 1. 그린 뉴딜과의 연계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과 연계하여 상호 시너지 창출 가능
🏭 2.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RE100 확산이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
🌍 3. 수출 경쟁력 강화
글로벌 공급망에서 한국 기업의 지위 향상 기회
자주 묻는 질문 (Q&A)
Q1: RE100에 참여하려면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하나요?
가장 기본적으로는 연간 전력 소비량이 100GWh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약 8만 4천 가구가 1년간 사용하는 전력량에 해당해요. 또한 포춘 1000대 기업이거나 해당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하게 인정받는 주요 기업이어야 합니다. 다만 작은 기업이라도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거나, RE100 우선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예외적으로 참여가 가능합니다.
Q2: RE100 참여 시 추가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한국에서는 현재 kWh당 약 30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연간 1,000MWh를 사용하는 기업이라면 연간 약 3,000만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해요.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화석연료 가격 변동 위험을 피하고, 탄소세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오히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2030년까지 RE100을 달성하면 약 15조원의 경제적 편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Q3: 한국에서 RE100을 달성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장 큰 문제는 재생에너지 인프라 부족입니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아직 낮아서 기업들이 충분한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어려워요. 또한 복잡한 제도와 규제도 걸림돌입니다. PPA 계약 절차가 복잡하고, 관련 법규가 까다로워 기업들이 쉽게 참여하기 어려운 환경이에요. 정부의 제도 개선과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Q4: 2024년 RE100 기술 기준이 어떻게 바뀌었나요?
가장 중요한 변화는 “15년 규칙”의 도입입니다. 이제 건설된 지 15년 이내의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만 RE100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이는 새로운 재생에너지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또한 유럽 시장 경계가 재정의되어 영국, 폴란드 등 일부 국가가 단일 시장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수력 및 바이오매스의 경우 지속가능성 증명이 필수가 되었고요.
Q5: 재생에너지 인증서(EAC)란 무엇인가요?
EAC(Energy Attribute Certificates)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의 환경적 속성을 증명하는 인증서입니다. 쉽게 말해 “이 전력은 태양광으로 만들어졌어요”라는 증명서라고 보시면 돼요. 실제 전력과 별도로 거래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 있는 기업이 베트남의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I-REC를 구매하여 RE100 달성에 활용할 수 있어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즉시 구매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Q6: RE100 참여가 기업에게 주는 장점은 무엇인가요?
경제적 장점으로는 에너지 비용 안정화와 장기적 비용 절감을 들 수 있습니다. 화석연료 가격 변동 리스크를 피하고, 미래 탄소세 부담도 줄일 수 있어요. 브랜드 가치 측면에서는 친환경 이미지 구축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MZ세대 직원들과 환경 의식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어요. 비즈니스 기회 확대도 중요한 장점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협력업체 선정 시 RE100 참여를 우대 조건으로 하는 경우가 늘고 있거든요.
주요 키워드 9개
RE100
기업 재생에너지 100% 전환 이니셔티브
재생에너지 100%
기업 전력 사용의 완전한 친환경 전환
기업 재생에너지
민간 부문의 친환경 에너지 도입
RE100 참여 기업
글로벌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 가입 기업
삼성전자 RE100
한국 대표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 계획
LG에너지솔루션 RE100
배터리 기업의 RE100 선도 사례
SK그룹 RE100
한국 최초 RE100 참여 기업집단
재생에너지 인증서
친환경 전력 사용 증명 시스템
기업 탄소중립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제로화 목표
참고자료 및 출처
주요 출처
RE100 공식 웹사이트
https://www.there100.org/
Climate Group RE100 소개
https://www.theclimategroup.org/about_re100
IBM RE100 가이드
https://www.ibm.com/think/topics/re100
FlexiDAO RE100 분석 보고서
https://www.flexidao.com/resources/re100-everything-you-need-to-know
Renewable Energy Institute 기술 기준 분석
https://www.renewable-ei.org/en/activities/column/REupdate/20221026.php
전자신문 – 국내 첫 RE100 이행방안 보도
https://m.etnews.com/20191022000315
이투뉴스 – RE100 칼럼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731
에너지데일리 – 삼성전자 RE100 경제적 효과
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230
Climate Impact Partners – RE100 기술 기준 업데이트
https://www.climateimpact.com/news-insights/insights/Updated-RE100-criteria-for-100-renewable-electricity/
Monsoon Carbon – 2025 RE100 기술 업데이트
https://monsooncarbon.com/re100s-2025-technical-update-stronger-guidance-on-recs-and-what-it-means-for-your-renewable-electricity-strategy/
PDF 문서
RE100 Technical Criteria (2025년 4월 15일 버전)
https://www.there100.org/sites/re100/files/2025-04/RE100%20technical%20criteria%20+%20appendices%20(15%20April%202025).pdf
본 글의 모든 정보는 2025년 7월 14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공식 기관의 최신 발표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성을 검증하였습니다.